자본주의

(2)
왜 사회주의인가?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쟁점들에 전문가가 아닌 자가 사회주의라는 주제에 관한 견해를 피력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나는 몇몇 이유들로 그것이 바람직하다고 믿는다. 우선 그 문제를 과학적 지식의 관점에서 숙고해 보자. 천문학과 경제학 간의 본질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날지 모른다. 양쪽 모두의 영역에서 과학자들은 일군의 한정된 현상에 관한 일반적인 수용성의 법칙을 발견하고자 하며, 이는 이들 현상들의 상호연결을 가능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함이다. 그러나 실제로 엄청난 방법론적 차이가 존재한다. 경제학의 영역에서 일반적 법칙의 발견은, 관측된 경제 현상이 별도로 평가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많은 요인들에 의해 자주 영향받는 상황 때문에 어렵게 된다. 더욱이, 소위 인류 역사의 문명화된 시대가 시작된 ..
자본주의 스탈리니즘 이 세계의 문제 전체주의와 후기전체주의의 도식을 갈파함으로써 스탈린주의의 기조를 비판하려 했던 바츨라프 하벨의 노력은 오늘날 아이러니하게도 스탈린주의와 현 자본주의의 형식적 차이에 관한 명료한 인식을 제공한다. 하벨의 주장대로라면 후기전체주의 체제는 특정 집단의 선도적인 정치적 노선이 아니라 복잡하고 장기간에 걸친, 아주 교묘해진 ‘사회의 자기 침해’인데, 다음 다섯 테제가 사회적 자기 침해로서의 후기전체주의적 스탈린주의 비판을 위해 그가 주장한 도식이다. 첫째, 구식 독재의 권력은 국지적이나 후기 전체주의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치기 때문에 무소부재한 듯 보인다. 둘째, 후기 전체주의의 역사성은 그것에 저항하는 운동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난다. 셋째, 세속화된 종교처럼 매우 융통성 있는 이데올로기에 ..